-
주택과 조합원입주권을 소유한 경우, 1세대1주택 특례는?뉴스,법률 2022. 11. 16. 12:19
주택과 조합원입주권을 소유한 경우, 1세대1주택 특례는?
세법에 따르면 부동산 중 주택에 한해 양도 시 1세대1주택자와 일시적 2주택자 등 비과세 특례 등 혜택을 허하고 있다. 그렇다면 본래 주택, 현재는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상태, 재개발사업 종료 후 신축주택으로 변하는 조합원입주권은 세법상 어떻게 취급할까?
조합원입주권은 재개발·재건축 주택에 대한 투기수요 억제라는 명목하에 2006년부터 주택 수에 포함했다. 그 결과 주택과 조합원입주권을 보유해도 1세대1주택 비과세,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특례 등 주택 관련 조항을 준용한 비과세 규정이 있다.
조합원입주권 비과세 특례조항에 대해 원조합원과 승계조합원으로 구분해 알아보자. 원조합원에게는 대체주택에 임시거주 후 신축 입주 또는 조합원 입주권을 팔고 떠나는 선택지가 있다.
승계조합원(기존에 1주택을 보유한 자로 관리처분계획인가일 후 1조합원입주권을 취득한 자)에게는 신축완공 및 입주 후 자신의 기존 1주택 양도의 상황이 발생이 발생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살펴보자. 원조합원이 대체주택 취득, 재개발 신축주택 완공 후 대체주택을 양도한 경우라면 재개발사업 등의 사업시행인가일 이후 대체주택을 취득·1년 이상 거주해야 하며 재개발사업 등에 따라 취득 주택 완성 후 2년 내 완성주택으로 세대 전원 이사·1년거주, 대체주택을 완성된 주택의 완공 전·후 2년 내 양도해야 하는 요건이 있다.
원조합원이 1조합원입주권 양도 또는 별도주택 취득 후 1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하는 경우라면 요건으로 관리처분계획인가일 현재 1세대1주택 요건을 갖춘 채 1조합원입주권 양도, 양도시점 1조합원입주권과 별도1주택만 보유, 3년 내 1조합원입주권을 양도해야 한다.
만약 3년 이내 승계조합원이 자신의 기존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요건은 기존 1주택 취득 후 1년 경과 후 원조합원으로부터 1조합원입주권을 승계취득, 승계조합원입주권 취득 후 3년 내 기존1주택(비과세요건 충족)을 양도하는 경우다.
만약 3년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요건으로 기존 1주택 취득 후 1년 경과 후 원조합원으로부터 1조합원입주권을 승계취득, 승계조합원입주권을 취득한 날부터 3년 경과 후에 기존주택(비과세요건 충족) 양도, 재개발신축주택 완공 후 2년 내 세대 전원 신축주택 이사·신축주택 1년 이상 거주·재개발신축취득 완공 전·후 2년 내 기존1주택(비과세요건 충족)을 양도하는 경우다.
얼핏 비슷해 구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한 꺼풀 벗겨보면 조합원입주권 보유자 별 상황에 맞게 규정이 정비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상황을 떠올리며 관련 조항을 읽는다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뉴스,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특약에 의해 잔금일 전에 주택을 상가로 용도변경하는 경우 (0) 2022.11.18 조정지역 해제에 사라지는 양도세 중과…중과배제도 연장 가능성 (1) 2022.11.17 "공시가 11억 아파트, 9억에 팔렸는데…" 집주인들 뿔났다 (0) 2022.11.15 6000만원 넣으면 이자만 300만원…은행 5% 예금 시대 개막 (0) 2022.11.14 아침 눈뜨자 마자 ‘3가지 행동’에 하루 결정된다 (0) 2022.11.10